- 작성일
 - 2020.01.16
 
- 수정일
 - 2022.04.28
 
- 작성자
 - 최병수
 
- 조회수
 - 889
 
연구실 안전관리 신경씁시다~
학과사무실에서 안내를 당부하여 알려드립니다.
메일도 보냈다고하니 자세한 사항은 메일을 참고해주세요~
일상 속 작은 관심과 노력이 큰 참사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고 평소 철저한 안전관리를 당부드립니다.
(’20.1.13., 과학기술안전기반팀)
□ 화학/화공 분야 주요 연구실 사고사례
구분  | 사고유형  | 사고장소  | 사고내용  | 피해  | 
1  | 반응성 위험(폭발)  | ○○연구소 젤추진연소실험실  | 니트로메탄과 젤란트를 혼합한 추진체의 연료조절밸브의 유량제어 기능 확인을 위한 분사실험 과정 중 추진체가 보관 된 용기 폭발  | 7명 (1명 사망, 6명 부상*) * 장 파열, 골절, 가스 흡입,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 | 
2  | 반응성 위험(폭발)  | ○○대학교 △△실험실  | 시료 폐액을 혼합해 처리하던 중 폭발  | 5명 (얼굴, 목, 손, 발 화상)  | 
3  | 접촉적 위험(접촉)  | ○○기술원 △△실험실  | 고밀도폴리에틸렌(HDPE) 재질의 2L 용기에 황산을 폐기하기 위하여 보관용기를 드는 순간, 용기 바닥면 파열로 황산용액 누출  | 3명 (손, 다리 화상)  | 
4  | 반응성 위험(폭발)  | ○○대학교 반도체공정실험실  | CNT(Carbonnano tube)와 황산을 사용하던 중, 황산+과산화수소 폐액통에 황산을 버리기 위해 보안경과 보호장갑을 착용하고 황산을 버리던 중 미상의 물질과 반응이 일어나 폭발  | 2명 (얼굴, 목 화상)  | 
5  | 반응성 위험(폭발)  | ○○ 첨단소재연구소 △△실험실  | Glove Box 내부를 정리하던 중 플라스크 보관 중이던 장기 미사용 화학물질 샘플을 폐기하기 위하여 Hood로 이동, 플라스크를 염과 동시에 폭발  | 1명 (상반신 자상)  | 
6  | 접촉적 위험(접촉)  | ○○대학교 나노공정실험실  | 질산을 이용한 에칭공정 실험 후 폐액 처리 과정에서 소량의 질산이 입고 있던 방진복에 노출  | 1명 (무릎 화상)  | 
7  | 반응성 위험(화재)  | ○○대학교 나노소재연구실  | 합성물질 재결정을 위해 용매 화학물질 혼합과정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발생  | -  | 
□ 생물/보건 분야 주요 연구실 사고사례
구분  | 사고유형  | 사고장소  | 사고내용  | 피해  | 
1  | 방사선위험(노출)  | ○○대학교 생명정보시스템과 생물분석실  | DNA분리 실험 중 UV조사로 인한 안면 부위 화상  | 2명 (얼굴 화상)  | 
2  | 접촉적 위험(접촉)  | ○○대학교 △△실험실  | 클린벤치 안에서 미생물 관련 실험을 하던 중 불이 붙은 알코올램프를 엎지름  | 1명 (다리 화상)  | 
3  | 접촉적위험 (이상온도 접촉)  | ○○연구원 △△과 실험실  |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동결 건조된 진균의 유리바이알을 밀봉하는 작업 중 바이알 상단이 깨지면서 가열된 유리 파편이 실험복 소매 안쪽으로 들어옴  | 1명 (손 화상)  | 
4  | 생물위험(물림)  | ○○연구기관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  | 붉은불개미 약제 감수성 실험을 진행하던 중 사육 중인 붉은불개미에 왼쪽 팔 안쪽 부분을 물림  | 1명 (팔 가려움, 붓기증상)  | 
5  | 생물위험(물림)  | ○○대학교 미세주입실  | 사육실에서 Wild type 마우스 식별을 위한 ear punching 중 실험용 마우스에 왼손중지를 물림  | 1명 (손가락 교상)  | 
□ 기계/물리 분야 주요 연구실 사고사례
구분  | 사고유형  | 사고장소  | 사고내용  | 피해  | 
1  | 접촉적 위험(기타 접촉적 위험)  | ○○대학교 항공기기체실습실  | 리벳 작업의 실습과제 제작 중 알루미늄 판재의 구멍 가공 부위가 정확하게 일치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탁상용 드릴링 머신의 회전 부위에 머리카락 일부가 말림  | 1명 (비흉터성 모발 상실)  | 
2  | 접촉적 위험(날카로운 면과 접촉)  | ○○대학교 목공기계실  | 각도절단기를 사용하여 목재를 절단하는 작업 중, 넘어지는 목재를 무의식중에 잡으려고 손을 내밀었음. 관성에 의해 완전히 정지하지 않은 각도절단기 회전톱날에 오른손 안쪽 중지 접촉  | 1명 (손 베임)  | 
3  | 접촉적 위험(기타 접촉적 위험)  | ○○연구소 모델실  | 전동식 수공구(핸드드릴) 드릴날을 교환하면서 드릴날이 손가락을 스침  | 1명 (손가락 베임)  | 
4  | 접촉적 위험(협착)  | ○○연구소 분체실  | 실험을 마치고 압축기의 냉각 롤러를 가동한 상태에서 손으로 롤러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끼임  | 1명 (손가락 골절)  | 
5  | 접촉적 위험(협착)  | ○○연구원 △△업체 내 실험실  | CaO공급부 호퍼길이가 길어 연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CaO 분말을 스크류 분말 공급장치에 직접 공급하던 중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보고 꺼내려다가 스크류 부분에 오른쪽 엄지가 낌  | 1명 (손톱부위 일부 절단)  | 
- 첨부파일
 - 첨부파일이(가) 없습니다.
 
나노융합기술학과